캐나다 중학영어 문법에 나오는 수동태 능동태 이야기

Verbs : Active and Passive 동사는 능동으로 쓰일때가 있고 수동으로 쓰일 때가 있다. 

Active (능동) : 문장에서 주어가 무언가를 한다.

예) Hojin hit the ball out of the park.  (호진이는 공원 밖으로 공을 쳤다.) - 주어(호진이가) 무언가를 했다. (볼을 쳤다.) 따라서 hit은 Active

호진이가 공을 쳤다. (Active)

Passive (수동) : 문장에서 주어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다는 의미

예) The ball was hit out of the park by Hojin. (볼이 호진이에 의해 공원밖으로 나가게 됐다.) - 주어(볼)에게 어떤일 (호진이에 의해 공원밖으로 나가게됐다.) 이 일어났다. was hit 은 Passive

공이 쳐 졌다. (Passive)

캐나다 영어

Active voice (능동태) : 동사가 문장에서 능동의 형태로 쓰였을때 능동태라고 한다.

Passive voice(수동태) : 동사가 문장에서 수동의 형태로 쓰였을때 수동태라고 한다.

How to make a pssive verb>>

능동의 동사는 간단하다.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를 맞춰서 동사를 사용하면 된다. 

예) Hilda walked (힐다는 걸었다-과거)

    Hilda Walks. (힐다는 걷는다 - 현재)

    Hilda will walk. (힐다는 걸을 것이다. -미래)

수동태를 만드려면, 동사에 "be 동사 + 동사의 과거완료형"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예) The song was sung. (노래가 불려졌다. - 과거)

     The song is sung. (노래가 불려진다. - 현재)

     The song will be sung. (그 노래는 불려질 것이다. - 미래) 

능동과 수동 - 언제 사용할까? 

때때로 수동태를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 어떤 일을 강조하거나, 능동태로 얘기할 수 없을때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능동태로 이야기할때 더 자연스럽다. 능동태는 액션을 좀더 간결하게 명확하게 표현한다. 의도하지 않은 수동형 문장은 매우 이상하게 들린다. 

예) Jim jumped out of the plane. (짐은 비행기에서 점프했다. )

짐이 점프했다. (Active)

     The plane was jumped out of by Jim. (비행기가 짐에의해 점프되어졌다? ) 

비행기가 점프되어졌다??? (Awkward!)

캐나다 영어 공부

동사와 태를 항상 맞춰 사용하자. 

한 문장안에서 능동태와 수동태를 같이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예) When Alice pulled the fire alarm, a loud ringing was heard. 

     (Pulled 는 능동, was heard는 수동으로 쓰였다. 이런식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

    When Alice pulled the fire alarm, the students heard a loud ringing. 

     (Pulled 와 Heard 모두 능동으로 쓰였다. 굿!) 

수동태로 시작한 문장은 모든 동사들도 수동으로 쓰도록 한다. 

예) When the fire alarm was pulled, a loud ringing was heard. 

     (was pulled, was heard 모두 수동으로 사용됨. 굿!) 

 

<출처 : English Language arts in one big fat notebook>

 

캐나다 중학 영어 문법에 나오는 강의 대명사 이야기 (Intensive pronouns)

1. Intensive pronouns (강의 대명사) 

   재귀대명사는 앞에 제시되었던 명사나 대명사를 강조하는 대명사이다. 

 

   예) My brother tied his shoes himself

          제시된 대명사                 강조하는 재귀대명사 

 

   강의 대명사는 "self"나 "selves"로 끝난다. 재귀대명사에는 myself, himself, herself, yourself, itself, themselves, ourselves, yourselves 등이 있다. 

 

캐나다 영어

2. Intensive and Reflexive Pronouns

    강의 대명사는 재귀 대명사는 문장, 구 또는 절의 주체를 언급하는 재귀대명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재귀대명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재귀대명사를 문장에서 제거하면 문장의 뜻이 달라진다. 

 

    예) She made herself a green dress. (그녀는 그녀의 녹색드레스를 직접 만들었다. )

         She made a green dress. (그녀는 녹색 드레스를 만들었다.) 

 

 강의 대명사로 사용될 경우에는 생략을 해도 뜻이 바뀌지 않는다. 

   

    예) She herself made a green dress. (그녀자신이 녹색 드레스를 만들었다.)

         She made a green dress. (그녀는 녹색 드레스를 만들었다. ) 

 

캐나다 중학 영어 문법

3. Myself 와 Yourself

   Myself 와 Yourself 는 종종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강의 대명사는 전에 나온 대명사를 강조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주어 목적어 목적격 대명사를 대신해서 쓸수는 없다. 

 

   예) Dan and myself will be leading the class. (댄과 나 자신이 그 강의를 리드할 것이다.) - 이 경우 주어에 쓰인 Dan을 빼고 문장을 간소화 해보면 Myself will be leading the class. 가 될 것이다. Myself 단독으로 주어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이런 경우엔 myself 대신 I 를 사용해야 맞는 문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인칭대명사의 종류

<인칭대명사의 종류와 동사 사용방법>

    

캐나다 중학 기본 문법 구와 절에 대한 이야기 (Phrases and clauses)

 

<동영상 출처: www.youtube.com/embed/Y35udHzm32o">

1. 구 (Phrases) 

   한 그룹의 단어들이 문장안에서 하나의 문장 구성요소로 활동하는 것을 구 (Phrase)라고 한다. 구는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또는 전치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에는 동사의 주체가 되는 주어를 가지지 않는다. 

   

    전치사 구 : 방향, 장소, 시간, 목적어를 꾸며주는 단어들의 그룹이다. 

    

   예문 >>

    Alice's favorite sweater was hanging from the line. (앨리스가 종아하는 스웨터가 줄에 메달려 있었다. ) 

            명사구 (주어로 사용)

 

   Bora found the sunset to be heart-stoppingly beautiful.  ( 보라는 심장이 멈출것같이 아름다운 석양을 발견했다.)

                                                 형용사구 (be동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 사용)

 

   Jack took his pet snake into the house.  (잭은 그의 애완동물인 뱀을 집안에 넣었다.) 

                                  전치사구 

2. 절 (Clauses) 

   동사의 주체가 되는 주어를 가지며, 항상 주어와 동사가 포함되어 있는 단어들의 그룹을 절이라고 한다. 

   

   1) 독립절 (Independent Clauses) 

        독립적으로 혼자 완전한 문장을 이루는 절을 말한다. 

       예문 >> I went to the bonfire after the game. (게임 후 모닥불에 갔다.)

                       독립절 

 

  2) 종속절 (Dependent Clauses) 

      독립적으로 완전한 문장이 되지 않는 절을 말한다. 

      예문 >> When the circus gets to town, we will go to see the elephants. 

                     종속절 (시간을 나타내는 종속접속사 when이 들어간 종속절)

 

      * 종속절의 종류 

         명사절 : 명사처럼 사용되는 종속절 (예: I don't know why he did that.)

         형용사절 : 형용사처럼 사용되는 종속절 (예: He really loved the jacket that she sold him.(명사 Jacket을 꾸며주는 형용사로 사용된 형용사절))

         부사절 : 부사처럼 사용되는 종속절 (예: All the kids tried to eat their Popsicles before they melted in the hot sun. (시간의 부사절)

 

3. 잘못 배치된 수식어들 (Misplaced Modifieers) 

   절이나 구가 잘못된 장소에 놓여졌을때는 말한다. 이런 경우 구나 절이 무엇을 수식하는지 알수 없다. 

   예) Greta smelled the meat loaf coming into the house for dinner. (meat loaf가 들어온다? 라고 해석될수 있는 문장으로 구가 잘못배치된 경우이다.  

        ==> Coming into the house for dinner, Greta smeeled the meat loaf. (주체인 Greta가 집에 들어온다는 의미가 명확해므로,  수식어구는 Greta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meat loaf와 멀리 배치됨으로써 혼란을 막을 수 있다. ) 

        

4. Dangling Modifiers 

   문장안에 나타나지 않는 어떤 것을 수식하는 구나 절을 Dangling modifier라고 한다. 이런 경우 수식하는 구나 절이 무엇인지 알수없다. 

   예) Excited about the first game of the season, Javi's hockey skates sat in the front hall, ready to be worn. 

        '이번 시즌의 첫 게임에 대해 흥분되었다 ' 라는 수식어구를 받을 주체가 나타나있지 않은 문장이다. 잘못하면 자비의 하키 스케이트가 흥분되었다고 해석될 수 있다. 

       ==> Excited about the first game of the season, Javi kept his hockey skates in the front hall, ready to be worn.  (자비가 수식어구를 받는 주체가 되어 수식받는 주체가 명확해 진다. ) 

 

5. 중문과 복문 (Compound and Complex sentences) 

   * 단문(Simple sentence) :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고, 완전한 아이디어를 포함한 문장이다. 

   * 중문 (Compound sentences) : 두개 혹은 그 이상의 독립절을 포함한 문장.

   * 복문 (Complex sentences) : 하나의 독립절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종속절을 포함한 문장.

 

   중문과 복문은 두 문장을 연결해주는 접속사(Conjunction)가 필요하다.  접속사는 단어와 구, 혹은 절 사이에 나타난다. 접속사는 중문에 사용되는 등위접속사 (Coordinating conjunction) 복문에 사용되는 종속접속사(Sub conjunction) 가 있다. 

 

6. 등위 접속사 (Coordinating conJunction) : FANBOYS!!

    For, And, Nor, But, Or, Yet, So 는 등위 접속사에 속한다. 

    중문의 경우 문장의 배치는 "독립절(IC) + 등위 접속사(CC) + 독립절(IC) " 

 

7. 종속 접속사 (Subordinating conjunction) : 장소 / 방향/ 시간 / 이유와 영향 

    After, although, as, because, before, even though, every time, if, in case, now that, once, since, though, unless, until, when, whenever, whether or not, while 등의 접속사로 복문의 배치는 '독립절(IC) + 종속 접속사(SC) + 종속절(DC)' 혹은 '종속 접속사(SC) + 종속절(DC) + ,(콤마) + 독립절(IC)' 이다. 

 

8. Compoung complex sentences (중문과 복문이 같이 들어간 문장) 

    중문과 복문이 함께 들어가있는 문장은 종속절과 독립절,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가 한 문장에 모두 들어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예) Because she had gotten there just in time, she was able to help her mother finish cooking dinner, so they were also able to play a game together.  (그녀는 제 시간에 들어왔기 때문에 그녀의 엄마가 저녁 요리를 끝내는 것을 도울수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함께 게임을 할 수 있었다. )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s in one big fat noteboo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