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레이터와 저자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 

<저자 나레이터 캐릭터의 관계> <이미지 출처: 유투브>

 

What is an Author?

Author (저자)는 책, 기사, 시 또는 다른 종류의 글을 쓴 사람을 말해.

Author background and perspective (저자의 배경과 관점) 

모든 저자들은 모두 다른 전기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어. 어던 저자의 전기적 배경은 그 혹은 그녀의 삶과 경험에 대한 이야기야. 여기에는 Culture (문화), Historical period, or when the author was alive (시대적 배경), Location (지역), Personal experiences (개인적 경험) 이 포함된단다. 

※ Culture (문화) : 태도, 지식, 풍습, 믿음 그리고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목표등을 말한다. 

시대에 따라, 장소에 따라, 문화에 따라 저자의 관점은 다른 저자들과 매우 다르지. 자지의 전기적 배경은 그 혹은 그녀의 관점에 영향을 줘. 혹은 저자가 세상을 보는 방식, 글을 쓰는 방식들에 영향을 주지. rmfotj, 저자가 누구인지 이해하면 그 또는 그녀가 처음에 글을 쓴 이유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dj. 

예) 여기 두 나라가 있다 - 블루와 레드. 블루라는 나라는 레드를 침략해서 큰 승리를 이루었다. 만약 시인이 블루 나라에서 자랐다면, 블루나라에 대한 그의 시는 어떨까? 만약 Playwright (극작가)가 레드나라에서 자랐다면 그녀의 블루나라에 대한 연극은 어땠을까?  

독자는 저자의 전기적 배경이 그의 혹은 그녀의 관점에 단순히 혹은 좀더 복잡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할 수 있다. 호머는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그는 핸드폰에 대해서 글을 쓸 수 없다. 왜냐하면 그는 핸드폰이 발명되기 전에 살았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때때로 저자의 전기적 배경은 좀더 복잡하게 저자들의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 Jane Austen은 여자들에게 많은 일을 허용하지 않는 시기에 살았던 여자이다. 그녀는 의사, 변호사, 정치인 여성에 대해서 글을 쓸수 없었다. 그녀가 살았던 시기에는 그들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이언스 픽션을 쓰는 저자들은 참으로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다른 삶을 상상하기 때문이다. 

Quthor vs Narrator (저자 vs 나레이터) 

나레이터는 스토리상에 존재하는 캐릭터로 저자와는 다르다. 나레이터는 저자가 탄생시킨 캐릭터로 저자와 비슷할수도 다를수도 있다. 픽션 텍스트에서 나레이터는 저자의 상상속의 인물이다 - 스토리의 다른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예) 

허클베리핀의 캐릭터와 책의 저자인 마크 트웨인의 캐릭터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Narrator Author
Huck Finn (A finctional person)
허클베리핀 (스토리상의 가상인물)
Mark Twain (a real person)
(마크 트웨인 (실제 인물))
Is an orphan
(고아)
Is not an orphan 
(고아가 아니다.)
Is a kid 
(아이)
Is a grown man 
(어른)
Can't write standard English
(표준 영어를 쓸줄 모른다.)
Makes a living writing standard English 
(표준 영어를 사용해 글을 쓰는 직업을 가졌다.)
Lives on the Mississippi
(미시시피에 산다)
Lives in Connecticut 
(코네티컷에 산다.)

저자와 나레이터사이의 다름은 픽션에 대해 좀더 이해를 하기 위한 첫단계야. 나레이터를 신뢰할 수 있을까?. 즉, 항상 진실과 자신이 아는 모든 것을 말해? 아니면 때때로 진실을 숨길 수도 있는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일까? 저자에 대해 이해하는 것과 비슷하게, 나레이터에 대해 이해했을때 우리는 캐릭터에 대해 좀더 이해할 수 있고 저자가 나레이터를 사용해 이루려고 하는 것에 대해 좀더 이해할 수 있을거야.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뉘앙스에 대한 이야기 (Nuances in word meanings)

Nuances (뉘앙스) 

뉘앙스는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말한다. 

뉘앙스는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로 의미는 'shade'라는 뜻이다. 

예) "Sweetie, come here..." vs "Alex Christopher Johnson, get over here!" 

위의 두 문장에 있는 각각의 단어들은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가진다. 

      Sweetie = Alex Christopher Johnson 

      Come here = Get over here 

하지만! 그들은 다른 의도를 가지고 있지.  단어의 뉘앙스를 이해할수록, 알맞은 뜻으로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거야. 넌 단어의 뉘앙스를 네가 묘사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not good" 은 기본적으로 'bad'의 의미지. 'bad'는 'terrible'과 비슷한 의미를 가져. 그리고 'terrible'은 'disastrous' 와도 비슷한 의미야. 하지만, 만약 너의 친구가 "How was your day?" 라고 물었을때, "Not good" 과 "Disastrous!" 의 답변은 어마어마한 차이가 있지. 

왜 이 두 답변은 다를까? Denotation 과 Connotation은 의사소통이 되어지는 의도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그 사전적 의미로 사용되어져 왜냐면 단어는 문장의 의미를 바꿀수 있으니까. 

Denotation (명시적 의미): 단어의 사전적 의미

Connotation (함축적 의미): 단어의 의미를 미묘하게 색칠 할 수있는 단어가 전달하는 아이디어 또는 느낌.

예)  Alexandre Dumas의 "The count of monte cristo"의 단락에서, 저자는 Edmond Dantes (영웅)의 적, Danglars를 묘사한다. 만약, 밑줄 친 단어를 비슷한 단어로 바꾸면 어떨까?

He was a man of twenty-five or twenty-six years of age, of unprepossessing countenance, obsequious to his superiors, insolent to his subordinates; and this, in addition to his position as responsible agent on board, which is always obnoxious to the sailors, made him as much disliked by the crew as Edmond Dantes was beloved by them.

(그는 25 살이나 26 살의 남자로, 매력없는 얼굴에, 상사에게 불순하고 부하들에게 무례했다. 그리고 이것은, 선원들이 항상 불쾌해 하는 위치인 책임있는 대리인으로서의 지위에 더해, Edmond Dantes가 그들에게 사랑 받았던 것처럼, 승무원들이 그를 싫어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Unprepossessing : Unattractive, awful, disfigured, grotesque... 

Obsequious : Respectful, servile, obedient, fawning, slavish...

Insolent : Arrogant, Breezy, discourteous... 

Unprepossessing의 동의어의 의미는 모두 "unpleasant to look at"(보기 좋지 않은) 이다. 하지만 함축적 의미는 다르다. "unattractive"는 "disfigured"와 같은 의미로 보기는 어렵다. 

Obsequious 의 동의어들의 의미는 "showing regard for power" (권력에 대한 발휘) 이다. 하지만 함축적 의미는 그렇지 않다. "Fawning" 은 어떤 사람이 당신을 좋아하게 만드려고 자기 자신을 바보로 만든다는 뜻이다. "Respectful"은 사전적인 의미로 당신이 다른사람을 존중함으로써 자신의 존엄을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Insolent 의 동의어들은 존경심의 결여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함축적 의미는 본래의 의미와 충돌하기도 한다.  "Arrogant" 는 자기자신에 대해 많이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breezy"는 상황에 따라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다고 가볍게 일들을 받아들이는 것을 나타낸다. "Discourteous"는 당신이 무례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insulting"이란 누군가 또는 다른 사람의 신용을 떨어 뜨리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만약 우리가 뉘앙스에 대한 생각없이 비슷한 뜻의 단어들로 원래의 단어를 바꾼다면, 그 구절은 완전히 다르게 전달될 수도 있다. 이렇게;;

He was a man of twenty-five or twenty-six years of age, of grotesque countenance, respectful to his superiors, breezy to his subordinates; and this, in addition to his position as responsible agent on board, which is always obnoxious to the sailers made him as much disliked by the crew as Edmond Dantes was beloved by them. 

(그는 25 세 또는 26 세의 기괴한 얼굴로, 상사를 존중하고 부하들에게 가벼운(?) 사람이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선원들이 항상 불쾌해 하는 위치인 책임있는 대리인으로서의 지위에 더해, Edmond Dantes가 그들에게 사랑 받았던 것처럼, 승무원들이 그를 싫어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이 모든 단어들은 비슷한 명시적 의미를 가진다 언래의 단어들처럼 하지만 사전적 의미는 같지 않다. 원래 표현에서 Danglars 는 진짜 악당처럼 들린다. 하지만 단어 몇개를 바꾼후에는 그는 더이상 나쁜 사람처럼 보이지 않는다. 사실 바뀐 표현에서, 항해사들이 왜 그를 좋아하지 않는지 말하기 어렵다. 이것이 바로 뉘앙스의 힘이다. 

<이미지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문맥에 대한 이야기 (Defining from Context)

Context란 무엇인가??

엄마가 누군가랑 얘기하는 걸 들어본 적있니? 넌 그 사람을 만난적도 없더라도, 그사람의 목소리와 톤, 그사람이 사용한 단어들을 듣고 그 사람이 호의적인지 적대적인지 알수 있을꺼야. 이것을 바로 Context라고 하지. 컨텍스트란 우리가 무엇인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들이란다. 

예를 들면, 넌 어떤 호스를 들고 있는 사람을 보았다고 하자. 그 사람은 왜 그것을 들고 있을까? 어떤 사람일까? 이 질문의 답들은 컨텍스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만약 그가 수영장에 물을 채우고 있다면 그는 아마도 수영장 관리인 일 것이다. 만약 그가 불타는 빌딩에 물을 쏘고 있다면 그는 소방관일 가능성이 크다. 만약 그가 꽃밭에 물을 주고 있다면 그는 아마도 정원 관리사 일 것이다. 

캐나다 영어

컨텍스를 사용해서 단어를 정의한다. 

단어들에도 똑같은 룰들이 적용된다. 우리는 단어의 의미를 모르면서도 문장의 컨텍스트를 통해 그 의미를 알아낼 수 있다. 

예) Some people like lions, and others like tigers. but I prefer bandersnatches. 

위의 예 문을 보면, bandersnatches라는 단어는 생소하여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한다. 그러나 문장안에서 사자와 타이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 대한 설명이 먼저 나온 걸로 보아 우리는 이 단어의 뜻을 다음과 같은 단계로 유추할 수 있다. 

1.  이것은 사자나 호랑이와 같은 동물이다.

2. 어떤 면에서 사자나 호랑이와 다르다.

3. 아마도 사자나 호랑이보다 좋은 것일 가능성이 크다. 

※ Bandersnatch 는 Lewis Caroll 이 만든 상상의 단어이다. 

예) I thought this bandersnatch was going to be different but it's got four wings and a love of chewing gum like all the rest of them.   

  ==> 위의 문장에서 알수 있는 밴더스내치의 특징은 4개의 날개와 껌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1. Four Wings, 2. A love of chewing gum) 

예) Some prefer newspapers and some like novels, but I've never met a bandersnatch who didn't have something to read with them. 

     ==> 위으 문장에서 알수 있는 밴더스내치의 일반적인 특징은 밴더스내치는 읽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예) The bandersnatch was so furmious that the whole place smelled like pickles. 

    ==>위의 문장에서 furmious의 뜻이 냄새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컨텍스트(문맥)란 알지 못한 단어의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컨텍스트는 픽션과 넌피션모두에서 모르는 단어들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할 수 있다.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in one big fat noteboo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