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하기 쉬운 인체 생리학2

소화및 흡수 이야기 -이해하기 쉬운 생리학 중에서 소화 및 흡수 1. 소화기계의 구조 (1) 소화관의 구조 - 소화기계 : 구강에서 항문, 입 → 인두 → 식도 → 위 → 소장(십이지장 - 공장 - 회장) → 대장(맹장-결장-직장) → 항문 - 9m 의 소화관과 소화액을 생성 분비하여 소화작용을 돕는 타액선, 간과 담낭, 췌장등의 부속기관으로 구성 1) 구강과 인두 - 구강내 : 치아와 혀(무수한 유두) * 성인 치아 : 32개, 영유아 (생후 6개월~2세) : 유치 20개 * 혀 : 횡문근성 기관, 점막으로 덮여 있음, 맛을 느끼고, 음식물의 혼합과 연하작용 수행 - 인두 : 구강 후방의 연속된 소화관의 한 부분, 코, 입 후두의 세 부위로 통함, 음식물과 공기의 통로, * 연구개 : 음식이 코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줌, 후두개 : 후두 상단을 덮어 기.. 2014. 6. 19.
내분비 이야기 - 이해하기 쉬운 생리학 중에서 1. 호르몬의 일반적 특성 (1) 체내 분비선의 종류 - 외분비선 (exocrine gland) : 침샘, 땀샘, 눈물샘, 소화샘등, 도관을 통해 체외 또는 소화관으로 분비 - 내분비선 (endocrine gland) : 뇌하수체나 갑상선, 특별한 도관없이 분비물을 직접 혈액, 또는 림프액으로 분비 - 자가분비(autocrine) : 조직세포에서 생성되어 하나의 조직내의 다른 세포를 조절하는 물질 1) 내분비선의 특징 - 호르몬 * 내분비선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는 체내 대사 조절물질 * 혈액이나 림프액에 의해 특정 조직세포나 표적기관으로 운반 * 매우 적은 양으로도 이들의 대사를 조절하는 작용을 함 * 체내 항상성 유지 * 과다증과 과소증이 나타나기도 함 * 비타민과 같이 조절작용을 하나, 체내에.. 2014.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