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제 규격 단위 (SI units)와 측정에 대한 이야기

 

SI 시스템은 모든 측정의 기본 단위 혹은 표준 단위를 말한다. 

SI는 System Internationale의 줄임말로 "국제 시스템"을 마말한다. 

SI base units :

 측정량 SI unit (Symbol)
Length or Distance (길이 혹은 거리) meter (m)
mass (무게) gram (g)
Weight or Force (무게 혹은 힘) newton (N)
Volume or Capacity (부피) Liter (L)
Temperature (온도) Kelvin (K)
Time (시간) Second (s)
Electric current (전류) Ampere (A)
Amount of substrate (기질의 합계) Mole (mol)
Light intensity (광도) candela (cd)

※ What is substrate? In Chemistry, it is the major compound that reacts with the reagent under a specified set of reaction parameters.  In biology, the earthy material where an organism lives. 

Definition of Substrate (출처: 구글 이미지)

 

SI 단위를 사용하여 누군가의 이두근 주위의 거리와 같이 짧은 거리와, 지구 주위의 어마어마한 먼 거리를 모두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 우린 단위의 크기를 측정에 맞게 변경할 수 있어야 해. 과학자들은 Prefixs (접두사)를 고안했어. 이 방법은 기본 단위에 10을 곱하는 시스템을 말해. 이 Prefix를 바꾸는 것만으로, SI 단위는 크고 작은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단다. 

SI Prefix (symbol) Multiplier (승수)
giga - (G) 1,000,000,000
mega - (M) 1,000,000
kilo - (k) 1,000
hecto - (h) 100
deca - (da) 10
[base unit] 1
deci- (d) 0.1
centi- (c) 0.01
mili - (m) 0.001
micro - (μ)

 

0.000001
nano - (n) 0.000000001

세상의 95퍼센트는 SI 단위를 사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국제규격

SI prefixes를 기억하는 방법 : Great Mighty King Henry Died By Drinking Chunky Milk Monday Night. 

<SI Prefixes 외우는 방법>

SI 단위 변환 

SI Prefix 시스템은 10단위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위별로 변환이 매우 쉬어.측정 단위보다 작은 단위로 변환을 원하면 소숫점을 오른쪽으로 옮겨주면 되지. 측정의 큰 단위로 변환을 원하면, 소숫점을 왼쪽으로 옮겨주면 되고. 

예 ) 0.001 kilometers = 1 meter = 100 centimeters 

      (키로미터(큰단위)에서 미터(작은단위)로 단위를 바꾸려면, 소숫점을 오른쪽으로 세번 움직인다. 미터(큰단위)를 센티미터(작은 단위)로 변환하려면 소숫점을 오른쪽으로 두번 옮기면 된다. (오른쪽엔 더이상 숫자가 없으므로, 0을 추가해주면 된다.) 

     330 centimeters = 3.3 meters = 0.0033 kilometers

      (센티미터(작은단위)를 미터(큰 단위)로 변환하려면 소수점을 왼쪽으로 두번 움직이면 된다. 미터(작은단위)를 키로미터(큰 단위)로 변환하려면 소숫점을 왼쪽으로 세번 움직이면 된다. ) 

일반적인 상식 : 가장 알맞는 단위를 사용하자. 해양의 부피를 즉정하는데 우유 한잔의 측정단위와 같은 단위를 사용한다고 생각해봐. 숫자를 표현하기가 너무 힘들꺼야. 해양의 부피 측정은 당연히 큰 단위를 사용해야겠지?

Types of Measurement

Length (길이) : 두 점 사이의 거리

Volume (부피) : 어떤 것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 

Mass (질량) : 액체, 고체 혹은 가스가 차지하는 크기 

Weight (무게) : 질량에 의해 발휘되는 힘 

Mass and Weight are not the same!! (질량과 무게는 같지 않다!) 

질량은 어떤 물체의 질량은 물체에있는 물질의 양이고 무게는 질량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말해. 무게는 중력 (힘)에 의존하지만 질량은 그렇지 않지. 예를 들어 달은 지구보다 중력이 적기 때문에 물체의 무게가 지구보다 낮아. 하지만 질량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된단다. 무게는 변하지만. 

Density (밀도) : 부피가 차지하는 물체의 양

Temperature (온도) : 얼마나 뜨거운지, 차가운지를 나타내는 수치. SI 단위는 Kelvin (k) 를 사용하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온도를 측정할때 SI의 파생단위인 Celsius (섭씨) 를 사용한단다. 

Celsius 는 Kelvin으로 변환할 수 있는데, 다음의 공식에 따라 변환이 가능해 

미국에서는 Celsius(섭씨) 를 변환해서 Fahrenheit (화씨) 를 많이 사용해. 

섭씨를 화씨로 바꾸는 공식은 다음과 같지; 

Time (시간) : 사건 사이의 기간을 말해 혹은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었는지의 기간을 말하기도 하지. SI 단위는 Second (초) 야. 다른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에은 hours (시간), days (날), month (달), 그리고 years (년) 이 있어. 

Measurement tools (측정 도구들)

Distance (거리)

Meterstic : 길이가 1 미터인 Ruler(자)라고 생각하면 돼. 야드 스틱보다는 좀 길어. 

Trundle wheel (트런들 휠) : 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트런들 휠을 사용해. 이 기구는 1미터를 지날때마다 클릭 소리를 내지 - 클릭 소리의 수를 기억하면 된단다. 

Tape Measure (테잎 측정) : 둥근모양의 거리를 측정할 미터 스틱이나 트런들 휠을 가지고 측정하기는 쉽지 않아. 이럴때 사용되는게 Tape Measure 이지. 

Volume (부피)

Graduated Cyliner : 얼마나 많은 액체가 들어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기구로, 실린더 바깥에 수치가 적혀 있어. Meniscus (커브가 있는 액체의 표면을 말해) 의 바닥에서 읽은 부피를 읽어주면 되고, 이 수치를 읽을때 눈 높이는 액체 높이에 맞추는게 중요해 

Volume of Solids : 직사각형의 고체의 부피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거리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해서 간단히 높이(Height), 길이(Lengh), 폭(Width)을 알면 돼. 이 세개의 수치를 곱해주면 부피를 구할 수 있지 

  Volume = Lenght x width x height

Volume of irregular solids ; (일정한 모양을 갖지 않은 고체의 부피) 

일정한 모양을 갖지 않은 고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 물체를 물안에 넣은 후 물의 변화된 양을 측정하는 거야. 처음 부피와 변화된 부피의 차이는 물체의 부피랑 같으니까. (네 자신의 부피를 구하고 싶다면, 다음에 목욕탕에 들어가서 측정해 보렴 ^^) 

규격단위

Mass (질량) 

Electronic Balance (전자저울) : 물체를 저울 위에 올린 후 나타나는 숫자를 읽으면 돼

Double pan balance (더블 팬 저울) : 양쪽의 팬에 물건을 올려 무게를 비교할 때 사용해. 질량을 찾기 위해선 알고있는 질량의 물건을 한 쪽에 올리고, 다른 쪽에 알고자 하는 물건을 올리는 거야. 양쪽이 수평이 될때, 두 질량은 똑같아 지지. 

컨테이너에 들어있는 물건의 무게를 재고 싶다면, 빈 컨테이너의 무게를 먼저 잰 후, 물건이 들어간 컨테이너를 재고, 그 차이를 재면 그 물건의 무게를 잴 수 있어. 

Triple Beam Balance (트리플 빔 저울) : 트리플 빔 저울은 더블 팬 저울처럼 작동하지만, 저울의 양쪽에 팬이있는 대신 한쪽에는 팬이 있고 다른쪽에는 라이더라고 불리는 슬라이딩 웨이트가있는 3개의 빔이 있어. 

Density (밀도) 

밀도는 단순히 특정 부피에있는 물질의 양이기 때문에 물체의 부피와 질량을 측정하고 다음의 공식처럼 나누어 밀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Density = Mass / Volume 

TIme (시간) 

시간을 측정하기위해서, 시계 혹은 스탑워치를 사용할 수 있어. 만약 일반적인 시계라면, 시작하는 시간과 끝난 시간과의 차이를 계산하면 되겠지.

Temperature (온도)  

THermoneter (온도계)는 온도를 재기 위해 사용되지. 온도계는 디지털이거나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온도계 가 있어. 온도를 측정 할 때 온도계 끝에있는 전구가 측정중인 액체의 중앙에 있고 용기의 측면이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해야해.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Science in one big fat notebook>

반응형
 

실험 보고서와 실험 결과에 대한 이야기

Study/Science | 2021. 1. 24. 04:04
Posted by Brilliant Idea

반응형

실험 보고서와 실험 결과에 대한 이야기 

 다른 과학자들과 너의 실험 결과를 나누는 일은 중요해, 그래야 그 사람들이 네 연구를 배우고 비평할 수 있지. 이것이 과학이 성장하는 방법이야. 네 실험과 발견할 것들을 알리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바로 랩 리포트를 쓰는거야. 

Lab Report (실험 보고서)를 쓰는 방법 

Lab Report는 다음 내용을 포함해야 해. 

Title (타이틀) :  독자들이 무엇에 대한 조사인지 알수 있도록 제목을 단다. 

Purpose (목적) :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한 짧은 설명. "이 실험의 목적은 뭐지?" 혹은 "내가 답을 하려는 질문은 무엇인가?" 정도 

Background Information (배경지식) : 키워드의 정의와 핵심 개념의 설명

Hypothesis (가설) : 네 실험의 예측 

Materials and equipment (준비물) : 준비물의 리스트와 실험을 하기위해 필요한 장비들. 셋업의 설명이나 스케치를 더하면 더욱 좋지. 

Procedure (절차) :  실험의 단계적 설명 

Data (실험 값) : 실험중 만들어지는 모든 관찰과 측정값들. 테이블, 그래프, 혹은 드로잉들과 같은 데이타들은 현재의 데이타를 기록해야 한다. 가장 좋은 측정값들은 정확하고 정밀해야 한다. (타이틀 차트, 그래프, 테이블은 모든 축과 그래프에 레이블을 달아줘야 한다.) 

Conclusion (결론) : 결과값이 가설을 서포트 하는지 아닌지, 어떤 에러가 있는지, 또한 실험을 위한 질문들과 같은 실험으로 배운 것들에 대한 요약. 

<이미지 출처: 과학 연구결과 및 결론을 잘 쓰는 방법 - wikiHow>

연구레포트 잘 쓰는 방법

Precision (정밀) : 측정값들의 정확하고 일관된 정도 

Accuracy (정확) : 실험 결과값이 실제 값과 가까운 정도 

때로 정확한 측정값이 불가능하거나, 일부만 가능할 수 있다 - 알맞은 기구와 장비가 없을때 혹은 소숫점 이하가 떨어지니 않고 계속되는 숫자 같은거 말야. 만약 이런 상황이라면, 과학자들은 Estimation (추정) 또는 Rounding numbers (반올림 숫자) 를 사용해. 

Estimation (추정) : 이유와 관찰을 사용해서 대략적으로 측정하는것 

Rounding numbers (반올림수) : 가치의 가장 근사한 값을 주는 것. 예를 들어 소숫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면, 둘쨰자리의 숫자가 5 이상이면 첫째자리의 숫자를 1만큼 올려준다. 둘째자리가 4이하면 그 숫자는 내려준다. 

과학적 결과의 평가 

다른 과학자들의 발견을 읽을때, 그 실험에 대해서 비평적으로 생각해야해. 너 자신에게 물어봐: 관찰들은 실험중에 이루어졌나 아님 실험후에 이루어졌나? 결론은 의마가 있나? 데이타는 결론적으로 가설을 증명했나 아님 데이타를 해석할 다른 방법이 있나? 결과는 반복적으로 나왔나? 정보의 출처는 믿을만 한가? 

과학자 혹은 그룹이 실험을 함에 있어 편견이 있었는지에 대해서 꼭 확인해야 돼. 편견이 없다는 의미는 실험 결과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는 거야. 예를 들어, 제약회사에서 새로운 약에 대한 실험을 하는데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면, 이것은 특별한 관심이 들어간거라고 봐야해. 이 제약회사는 약품이 효과적일때 이익을 보니까. 이 실험은 중립적일 수 없어. 결과가 긍정적이고 제약회사의 이익을 줄 것으로 보여질 가능성이 높겠지. 그래서, 네가 어떤 실험에 대한 결과를 이끌어낼때, 이 실험에 어떠한 편견이 있는지에 대해 꼭 생각해야 해.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Science in one big fat notebook>

반응형
 

과학 실험에 대한 이야기 (Scientific experiments)

Study/Science | 2021. 1. 22. 14:29
Posted by Brilliant Idea

반응형

과학 실험에 대한 이야기 (Scientific experiments)

Designing a Scientific Experiment 

실험을 디자인 하기위한 시작을 알아볼까?

1. 네가 궁금한것에 대해 관찰해보자. (Observe)

2. 네 자신의 실험 계획을 세우기 위해 기존의 실험을 바꿔보자. (Alter)

3. 네가 같은 결과를 갖는다면 과거의 실험들을 반복하자. (Repeat)

실험은 단계별로 상세한 절차(Procedure) 와 실험을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목록이 필요해. 어떤 과학자는 그가 어디에 있던 네 절차에 기본해 실험을 되풀이 할 수 있어야 해. 이것은 다른 과학자들에게 네 결과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넌 한번이상의 실험을 실행함으로써 통제된 실험을 할 수 있어 : 처음엔 어떠한 요소도 바꾸지 않고 시행하고, 두번째는 네가 관찰하고 싶은 요소만을 바꿔서 통제된 실험을 하는거야. 통제 된 실험에서 일치하는 요인을 상수라고하며 실험 결과에 영향을주지 않아. 변수(Variable)는 실험결과를 변경하는 요인을 말해. - 통제된 실험을 통해 변수의 영향을 테스트 할수 있어. 하나의 요인만을 테스트하기 위해 실험의 다른 모든 요인은 일정하게 유지돼. 이렇게 하면 관찰한 변경 사항이 변경한 하나의 변수에 의해 발생하거든. 

Procedure (절차): 실험을 시행할수 있는 방법의 단계별 리스트 

Control (제어): 모든 변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행을 제어한다. 제어는 실험 비교 기준으로 사용된다.

Constants (상수) : 동일하게 유지되는 실험의 모든 변수는 상수이다. 

변수마다 역할이 달라.

Independent variable (독립변수) : 독립변수는 실험에서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변수이다.

Dependent variable (종속변수) : 종속변수는 실험결과인 독립변수의 영향을 받는 변수이다. 

예) Goldfish Experiment (금붕어 실험) 

매 2주마다 선생님은 금붕어를 사야했어. 그 전 금붕어가 죽었거든. 그 교실에서는 금붕어는 알맞은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가설을 세웠었어. 이 요소를 실험하기 위해 모든 다른 변수들 (물고기의 종류, 물탱크 사이즈, 수질, 물의 온도, 먹이의 종류 그리고 위치)을 상수로써 모두 똑같이 하고 실험을 했지. 

상수 (Constants) : 물고기의 종류, 물탱크 크기, 수질, 수온, 먹이, 위치

이 실험에서 독립변수는 얼마나 자주 물고기에게 먹이를 주는지였고, 종속변수는 2주후의 물고기의 건강이었다. 

Collecting data (자료수집) 

좋은 데이타는 상세하고 특별하다. 양적 묘사나 측정에 대한 데이타는 매우 도움이 된다. 좋은 데이타는 또한 정확하다. 관찰과 측정은 주의깊게 해야한다. 정확성을 유지하기위해 실험 후가 아닌 실험을 하는 동안 관찰을 하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타 없이는 결과값은 의미가 없다. 

Analyzing and Presenting data (데이타 분석 및 제시) 

다음은 데이터를 구성하고 표시하는 몇 가지 일반적인 방법이야 . 

테이블은 행과 열로 데이터를 표시해. 숫자가 나란히 있기 때문에 표를 빠르게 읽을 수 있고 숫자를 쉽게 비교할 수 있지. 그래서, 실험 중 데이터를 기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표라고 할 수 있어. 테이블에서 데이타를 수집했을 때, 이 자료들을 그래프로 만들어 더욱 보기 좋게 만들 수 있어. 

Line graph(선 그래프)는 두 변수사이의 관계를 보여줘 - 하나는 X 축 (수평선)에, 다른 하나는 Y 축 (수직선)에 그려져. 각 축의 눈금은 측정의 역수를 보여줘. 스케일은 2, 4, 6, 8 .. 또는 5, 10, 15, 20 ... - 하지만, 2,5,7,15는 아니야. 

선 그래프는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즉 독립 변수로 인해 종속 변수가 어떻게 변하는 지 보여줘. 독립 변수는 X 축에 있고 종속 변수는 Y 축에 있어. 선 그래프는 식물의 성장 또는 경주 용 자동차의 가속과 같이 시간에 따른 지속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에 가장 적합해. Scatter plot(산포도)는 두 데이터 세트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선 그래프 유형이야. 산포도는 데이터를 Ordered pairs (정렬 된 쌍)으로 그래프로 표시돼. (단순히 숫자 쌍이지만 함께 나타나는 순서가 중요하지).

예) 수학 평가 후,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몇시간씩 공부했는지를 물었고, 그녀는 그 답을 성적과 함께 기록했어.

Name Numbers of hours studied Test score
타미 4.5 90
라트릴 1 60
소피아 4 92
마이클 3.5 88
모니카 2 76
데이브 5 100
에바 3 90
렌스 1.5 72
베카 3 70
세리나 4 86

타미의 데이타를 보여주기 위해 우리는 x 축의 값은 4.5, y축의 값은 90인 지점에 점을 찍었어.

 

과학 데이타 작성하기

산포도에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선생님과 그녀의 학생들은 공부 한 시간과 시험 점수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지. 공부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점수도 올라가는게 보이지? 이건 시험 점수와 공부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거야. 

우린 공부한 시간의 숫자와 시험점수사이의 관계를 대충 묘사하는 그래프의 라인을 그릴 수 있어. 이 선을 가장 알맞은 선이라고 불러 왜냐면 두 변수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기 때문이야. 가장 잘 맞는 선에 놓여진 점들은 없어, 하지만 괜찮아. 이 그래프의 모든 점들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선이 이 선이니까. 

Bar graphs (바 그래프)는 다른 높이의 직사각형으로 데이타를 표현하는 거야. 각각의 직사각형은 다른 변수를 대표해. 좋아하는 아이스크림 맛 이나 좋아하는 애완동물의 종류같은 것들 말야. 직사가형의 높이가 높을수록 그 숫자가 크다는 걸 의미하지. 

Circle graphs (원그래프)는 Pie charts(파이 챠트)라고도 불리는데, 이 그래프는 마치 파이를 잘라놓은것 처럼 생겼다고 생각하면 돼. 

그래프는 독자가 데이터를 해석 할 수 있도록 눈금 및 단위와 같은 제목과 레이블을 지정해야 해. 

Drawing Conclusions (결과의 도출)

너의 가설을 지지해줄 결과를 얻었니? 만약 아니라면, 너의 가설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 때로 결과들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그래서 넌 네가 직접적으로 밝혀내지 못한 것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관찰이나 사실들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결과도출을 추론해야 할 꺼야. 

예를 들어, 만약 네가 티라노 사우루스 렉스는 무엇을 먹었는지를 알고 싶다면, 너는 티렉스 화석 근처에서 발견된 화석화된 배설물의 종류를 관찰해야 할거야. 만약 잘게 부숴진 뼈들을 본다면, 넌 티렉스는 작은 동물이나 작은 공룡들을 먹었다고 추론할 수 있지. 추론이 필요할때, 배경자료를 보고 추가 조사를 하는 것은 도움이 될거야. 

결과는 실험과 발견의 비평적인 장소가 된다. 측정이나 다른 어떤 것에 오류가 있었을까? 절차는 제대로 따라 했을까? 장비는 얼마나 완벽했을까? 실험의 오류가 없다고 하더라도, 결과는 항상 같지 않다. 상수는 완변하게 잡고 있기 어렵다. 원하지 않는 변수들이 너의 결과에 작용할거야. 발견이 정확하다는 걸 확실히 하기 위해, 여러번의 실험을 실행하는 것이 좋다. 

예 ) Plant Fertilizer Expermient (식물의 비료 실험) 

Bob은 식물 비료의 효과를 조사하고 싶었어. 밥은 세개의 식물을 샀고, 1번 식물에는 매일 아침 비료를 주었고, 2번 식물에는 일주일에 한번 비료를 주었어. 식물 3에는 비료를 주지 않았지. 

밥은 매일 아침 세개의 식물에 물을 주었고 같은 창문가에 두었어. 그래서 식물들은 같은 햇볕을 쐴수 있었지. (상수 - 햇볕과 물) 밥은 각 식물의 높이를 일주일에 한번씩 쟀어 그리고 그 데이타 를 테이블에 적었어. 데이타를 분석하기 위해 밥은 각 식물의 높이와 시간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로 그랬어. 

 

데이타와 그래프의 자료를 통해 밥은 식물의 비료는 식물의 성장속도에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어. 매일 비료를 준 식물 1이 한번도 비료를 주지 않은 식물 3에 비해 4배 빠른 속도로 자랐음을 알 수 있었어. 또한 일주일에 한번 비료를 준 식물 2보다 식물 1이 더 빨리 자랐고, 이 결과는 매일 비료를 주는 것이 더욱 빠르게 자란다는 결과를 도출해 냈지. 

과학 데이타 와 그래프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Engineering :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 및 구조의 설계, 구축 및 사용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

공학은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제품을 발명하기 위해 기계 및 구조의 설계, 구축 및 사용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란다. 과학자로서 질문을 조사하기 위한 과학적 문의를 사용하는것 처럼, 엔지니어들은 발견, 디자인 그리고 혁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디자인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엔지니어들은 현재 태양 에너지를 수집하여 도로를 비추는 데 사용할 수있는 포장 도로를 개발하고 있어. 이 혁신은 잠재적으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더 안전한 야간 운전을 위해 도로를 비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를 수행해 도로 조명 비용을 절감해. 그러나 이와 같은 솔루션을 얻기 위해 엔지니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경로를 따라. 

The major branches of engineering are;

Mechanical (기계): 기계 동력 및 기계 시스템, 기계 및 도구 설계를 다룸; 힘과 운동 연구

Chemical (화학): 원료 및 화학 물질과 함께 작동; 새로운 재료 및 프로세스 발견

Civil (토목): 건물, 도로, 교량, 댐 등의 설계 및 건설이 포함

Electrical (전기): 전기는 전기와 컴퓨터 칩과 같은 전기 시스템의 설계를 연구한다.

그리고 더 많은 유형의 엔지니어링이 있다. 컴퓨터, 항공 우주, 생물 의학, 자동차, 제조, 지질학 등

과학적 탐구가 질문에 신중하게 답하는 특정 단계가있는 것처럼, 엔지니어링 설계 프로세스에는 엔지니어링 프로젝트를 안내하는 데 도움이되는 시스템이 있어. 예를 들어 해양 학자들은 심해저를 탐험하고 배우기를 원할 수 있지만, 다이버들은 깊고 빠르게 움직이는 해류에서 이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엔지니어는 문제에 대한 배경 조사를 수행하고 설계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설계 사양(요구 사항)을 결정하고 자신의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있는 제약 사항 (제한 사항)을 식별해. 예를 들어, 엔지니어는 해양학자가 해저에서 어떤 종류의 정보를 찾고 있는지 조사 할 수 있어. 일부 Design specs (디자인 사양)에는 다이버가 얼마나 깊은 곳으로 가야하고 해류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지가 포함될 수 있어. 엔지니어는 또한 솔루션에 사용할 수있는 비용과 수중에서 사용할 수있는 재료와 같은 제약 조건에 대해서도 알아보지.

Design specs(디자인 사양) : 엔지니어가 반드시 그의 디자인에 넣어야 하는 요구조건들 

Constraints (제약) : 제한 혹은 제약 (물리적, 사회적 혹은 재정적)

문제가 식별되고 필요한 모든 정보가 수집 된 후 다음 단계는 가능한 솔루션을 제안하는 거야. 과학적 탐구에서는 가설을 공식화하지만 공학에서는 설계 진술을 설정해. 이것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정의하지. 엔지니어는 최상의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많은 아이디어를 브레인 스토밍하고 각 솔루션을 평가하거든. 예를 들어, 심해저 탐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엔지니어는 다이버가 착용 할 수있는 모터나 빠르게 움직이는 해류에 대항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수중 로봇을 생각 해낼 수 있어. 그들은 어떤 접근 방식이 가장 효과적일지 묻지. 왜?

넌 어떻게 최고의 해결책을 선택하니? 디자이너는 어떤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인지를 결정할때 이러한 보편적인 디자인 기준에 대해 자주 생각하곤 한다. : Robustness (견고함) (Strenth(힘)), Cost (비용) , Aesthetics (미학) (Looks(외모)), Resources (자원), Time skill required (필요한 시간 기술), safety (안전) , elegance (우아함)

그런 다음 엔지니어는 종이의 첫 번째 초안 (Prototype) 과 같은 솔루션의 프로토 타입을 설계하고 만들어. 이는 결국 솔루션이 무엇인지에 대한 대략적인 아이디어야. 엔지니어는 기술 도면과 크런치 번호를 만들어 성능에 따라 쉽게 조정할 수있는 간단한 프로토 타입을 만들어. 엔지니어는 게처럼 보이고 행동하는 수중 로봇이 다이버의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어. 6개의 다리로 스스로를 안정시키고 카메라와 수중음파 탐지기 장비를 휴대하여 정보를 수면으로 되돌릴 수 있어. 

Prototype (초안) : 쉽게 조정할 수있는 예비 모델

설계가 완료되면 엔지니어는 도면을 청사진으로 사용하여 간단한 프로토 타입을 구성해.

넌 많은 다른 방식으로 디자인을 할 수 있어 - 드로잉, 컴퓨터 모델, 스토리 보드 등등. 넌 많은 다른 재료들을 가지고 프로토 타입을 만들수도 있어 - 스크랩 우드, 토이 블럭, 포스터 보드 또는 메탈, 플라스틱 또는 3D 프린터로 프린트한 것들 같은것들 말야. 

다음으로 프로토 타입이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유지되는지 테스트 할 시간이지. 엔지니어는 제품을 여러 번 테스트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해. 제품이 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새로운 솔루션을 브레인 스토밍하거나 프로토 타입을 재설계해. 종종 그들은 디자인이 요구 사항이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는 방식을 해결하지. 실제 세계에서 프로토 타입을 테스트 한 결과 디자인을 개선하고 프로토 타입을 조정하거나 새 프로토 타입을 만드는 방법을 찾아. 단계를 여러 번 반복하고 매번 개선 한 후 작동하는 솔루션을 찾지. 

예상했던 대로 진행되지 않는다고 실험이 실패가 아닌것 처럼, 실제세상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프로토 타입은 새로운 발견과 생각을 리드할 수 있어.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은 작동하는 것을 알아내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야. 

마지막으로 엔지니어는 최종 제품을 만들어. 논문의 최종 초안과 마찬가지로 엔지니어는 설계가 완벽해질 때까지 수정해. 그런 다음 최종 디자인 재료를 사용하여 최종 제품을 만들어 대중에게 공개해. (그리고 자신의 발명품을 판매 할 수도 있지.)

과학실험

 

Engineering Design Process (엔지니어링 설계 프로세스)

1. Define the problem (문제를 정의한다.)

2. Do background research (배경조사를 수행한다.)

3. Determine design specs and constraints. (설계 사양 및 제약사항을 결정한다.)

4. Create a design statement : Brainstorm ideas, evaluate possible solutions, and choose what will, hopefully be the best option. (4. 디자인 성명서 작성 : 아이디어를 브레인 스토밍하고 가능한 솔루션을 평가하고 최선의 선택이 될 것을 선택한다.)

5. Design a prototype. (5. 프로토 타입을 디자인한다.)

6. Construct a prototype. (6. 프로토 타입을 만든다.)

7. Test the prototype. (7. 프로토 타입을 테스트한다. )

8. Evaluate it: Does it solve the problem well? (8. 평가 : 문제를 잘 해결하나?)

9A. Yes? Construct a final product and present to the public. (9A. 예? 최종 제품을 만들어 대중에게 선보임)

9B. No? Go back to No. 4. (9B. 아니? 4번으로 돌아감.)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Science in one big fat notebook>

반응형
 

반응형

과학적 사고에 대한 이야기  (Thinking like a Scientist)

The Branches of Science and How they fit together 

Life science or Biology (라이프 사이언스 또는 생물) 는 모든 생물에 대한 공부야. 나무, 동물, 단세포 유기체 같은 것들이지. 

Eearth Science (지구과학) 는 지구와 우주에 관한 학문이란다. 행성, 별, 암석같은 것들이지. 지구과학은 무생물과 그 역사를 공부하는 학문이야. 

Physical Science (물리 과학) 는 에너지와 물질에 관한 학문이란다. 우주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와 물질에 관한 학문이야. 여기엔 Physics (물리 -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에너지) 와 Chemistry(화학 - 물질과 그것이의 변화) 가 있지. 

이러한 과학은 우주를 레고세계처럼 생각해 볼 수 있어. 

1. Physics (물리학) 는 하나의 레고와 그것이 움직이는 방식과 그것의 에너지와 같은 모든 속성을 연구해.

2. Chemistry(화학) 는 어떻게 레고가 모여서 더 큰 형태를 만드는지에 대해 공부하지. 

3. Life Science (생명 과학) 는 레고로 만든 가능한 모든 생물을 연구해.

4. Earth Sciece (지구과학) 는 레고세계에 있는 모든 무생물에 대해 공부한단다. 

Physics Chemistry Life Science Earth Science
수학모델

Scientific Inquiry 

과학은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질문에 답을 찾는 한 방식이야. 과학자들은 탐정처럼 복잡한 퍼즐을 풀기위해 증거를 이용해. 과학자들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증거를 찾아낸단다. 질문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과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진행방식을 Scientific Inquiry (과학적 탐구) 라고 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위한 노력을 우린 또다른 말로 Scientific Method(과학적 방법) 이라고도 말한단다. 

과학적 탐구는 우리 주변의 세계와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돼. 질문이 확인되면 다음 단계는 모든 가능한 자료를 모으는 거야. 이러한 자료는 실험을 하고, 관찰을 하고 배경 조사를 통한 조사와 관련된 것들을 말해. 

Background Research (배경 조사) 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 과학자들의 발견을 보는 거야. 그러한 예측을 Hypothesis (가설) 이라고 불러. 과학자들은 그들의 관찰을 하고, 그들의 예측과의 비교하여 가설을 시험해. 관찰은 그 관찰에 대한 설명을 위해 우리의 감각 - 촉각, 청각, 시각, 후각 같은 것들 - 을 필요로 하지. 어떤 관찰은 Quantitative(양적)이며 Measurements (측정)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일부는 Qualitative (질적)이며 무언가의 qualities(질)에 기반합니다. 과학적 탐구의 결과를 Conclusions (결론)이라고 해. 

<이미지 출처 :  Everything you need to ace Science in one big fat notebook>

과학모델

Model (모델) 은 너무 작거나, 너무 큰 혹은 관찰하기에 너무 비싼 것들을 대신하는 것을 말해. 모델은 사물을 더 쉽게 관찰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란다. 모델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어. 

1. Physical Models (물리적 모델) : 지구본이나 디오라마 (박물관의 입체 모형 같은것) 같은 것들 

2. Computer models (컴퓨터 모델) : 날씨변화 패턴에 대한 시뮬레이션, 혹은 사람이나 장소에 대한 3D 시뮬레이션 과 같은 것들 

3. Mathematical models (수학 모델) : 과거의 비용을 이용해 미래 비용을 예측하는 사업 혹은 방정식과 같은 것들

☞ 실험은 예측되로 진행이 되지 않았다고 해서 거짓은 아니야. 거짓을 아는 것 진실을 찾기위한 중요한 한 부분이니까. 

<이미지 출처 :  Everything you need to ace Science in one big fat notebook>

과학적 모델

Scientific ideas, Theories, and Laws 

많은 관찰을 한 후 과학자들은 어떻게 그리고 왜 그러한 현상들이 발생하는지를 설명하기위해 방법들을 발전시켜. 과학적 사고는 예측과 증거들이 이를 뒷받침 할 수도 하지 않을수도 있기에 시작된다. 

가설이 많은 테스트와 실험으로 확정이 된 후에, 과학자들은 이것을 Theory(이론)으로 발전시켜. 이 이론은 많은 관찰을 기본으로 많은 테스트를 거쳐 제안된 설명이야. 

Theory (이론)와 같이 과학적 Law (법칙)은 많은 관찰을 바탕으로 만들어져. 법칙은 어떤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규칙이야, 하지만 이 법칙은 왜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설명하지는 않아. 예를 들어, Sir Isaac Newton (뉴턴) 은 물체가 자연적으로 땅에 떨어진다는 것을 관찰했어. 이러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그는 만유 인력 (Universal Gravitation)의 법칙을 제시했지. 이 법칙은 중력의 힘으로 인한 물체의 움직임을 예상하지만, 왜 물체가 그렇게 움직이는지는 설명하지 않아. 

LAW (법칙) 은 특정 상황하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설명한다.

Theory (이론) 은 수많은 시간동안의 테스트와 관찰을 바탕으로 왜 어떠한 일이 생기는지를 설명한다. 

<출처 :  Everything you need to ace Science in one big fat notebook>

반응형
 

Setting (문학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

Study/English study | 2021. 1. 18. 13:57
Posted by Brilliant Idea

반응형

Setting (문학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

What is setting?

문학에서, 셋팅이라고 하면 이야기가 벌어지는 시간과 장소를 말해.

예) War and peace by Leo Tolstory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는 나폴레옹 전쟁기간의 러시아가 Set 이야. A christmas Carol by Charles Dickens (챨리 딕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롤) 의 Set는 빅토리아 시대의 런던이지, 그리고 The wizard of OZ by L.Frank Baum (L. 프랭크 바움의 오즈의 마법사)는 가상세계인 오즈가 Set 라고 할 수 있어. 

Setting ca include information about ;;

  • Era or period (시대) 
  • Date and time of day (날과 시간)
  • Geographical location (지리적 위치)
  • Weather and natural surroundings (날씨와 자연적 배경)
  • Immediate surroundings of a character (등장인물의 직접적인 배경)
  • Social condition (사회상황) 

How Authors set the Scene 

저자는 만약 독자인 네가 거기있었다면 경험할수 있을 것들을 설명함 으로써 장면을 설정하거나, 설정을 만들어.네가 듣고 보고 느끼는 것들, 떄떄로 네가 냄새를 맛거나 맛을 느끼는 것까지도 말야. 저자들은 그 이야기의 현재 상황에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설명하기도 해. 우리가 있는 시간대와 그 시간 있었던 큰 사건들 같은 것들 말이지. 

예)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by Lewis Carroll (루이스 캐롤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의 한 구절을 예로 들어보자. 앨리스는 미스테리한 하얀 토끼를 쫓다가 토끼굴로 들어가게 돼. 

qte ==

The rabbit hole went straight on like a tunnel for some way, and then dipped suddenly down, so suddenly that Alice had not a moment to think about stopping herself before she found herself falling down what seemed to be a very deep well.

(토끼 굴은 터널처럼 똑바로 갔다가 갑자기 아래로 내려 가서, 멈출 생각을 할 시간도 없이 앨리스는 아주 깊은 우물같은 곳으로 떨어졌다. ) ▶ 토끼굴은 터널과 같다. 갑자기 우물과 같은 어떤 것으로 떨어진다. "우물"은 깊다. 

Either the well was very deep, or she fell very slowly, for she had plenty of time as she went down to look about her, and to wonder what was going to happen next. First, she tried to look down and make out what she was coming to, but it was too dark to see anything :

(우물이 매우 깊거나 매우 느리게 떨어졌다. 왜냐하면 그녀가 그녀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 지 궁금해하는 동안 충분한 시간을 보냈기 때문이다. 먼저, 그녀는 아래를 내려다보고 그녀에게 오는 것을 확인하려고 노력했지만 그곳은 아무것도 볼 수 없을 정도로 어두웠다.)  ▶세상의 시간이 느리게 흘러가는 듯 보인다.

then she looked at the sides of the well, and noticed that they were filled with cupboards and book-shelves: her and there she saw maps and pictures hung upon pegs.

(그런 다음 그녀는 우물의 벽을 보았고, 그 우물이 찬장과 책장으로 가득 차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녀는 그곳에 지도와 그림이 못에 걸려있는 것을 보았다.) ▶그 아래는 매우 어두웠다.벽은 선반과 어떤것들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Qte ====================

 

여기의 셋팅의 묘사는 하나씩 하나씩 상세하게 느리게 만들어진다. 우리는 각각의 새로운 문장으로 부터 무언가를 알수 있고 만약 그 상세한것중 하나가 빠진다면, 그 나머지 셋팅을 이해할 수 없게된다. 만약 그 선반과 지도들에 대해 앨리스가 우물로 떨어지기 전에 우리가 알았다면, 그것들은 그저 공간에 둥둥 떠있었을 것이다. 시에서 작가들은 한줄 한줄 셋팅을 만들어 나간다. 

The setting answers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셋팅은 다음의 세가지 질문에 답을 한다.) 

  • Where does the story takes place? (이야기의 배경은 어디인가?)
  • When does the story takes place?(이야기의 시대는 언제인가?)
  • What are the conditions like in this time and place? (이 시간과 장소와 같은 조건은 무엇인가?) 

 

예) 시 "I wandered lonely as a cloud, by William Wordsworth " (윌리엄 워즈월즈의 시)

Qte =======================

I wandered lonely as a cloud.

That floats on high o'er vales and hills,

When all at once I saw a crowd,  ▶ 무슨 구름? 

A host, of golden daffodils; ▶ 수선화! 

Beside the lake, beneath the trees,  ▶ 나레이터는 어디? 호수옆 나무 아래

Fluttering and dacning in the breeze.

 

Continuous as the stars that shine ▶ 지금 시간은 밤 시간인가?

And twinkle on the milky way, 

They stretched in never-ending line ▶ 나레이터가 볼수 있을 만큼 멀리 수선화가 뻗어있다. 

Along the margin of a bay: ▶ 지금, 나레이터는 바다의 만(bay) 옆에 있다. 

Ten thousand saw I at a glance, 

Tossing their heads in sprightly dance. 

 

The waves beside them danced; but they ▶ 현재 바다옆 

Out-did the sparkling waves in glee: ▶ 바다는 햇살을 받아 더욱 반짝인다. 그러므로 지금은 낮시간이다. 

A poet could not but be gay,

In such a jocund company:

I gazed-and gazed-but little thought 

What wealth the show to me had brought... 

Unqte ================

각각의 절에서 나레이터는 구름의 관점과 다른 장소에 있는 수선화를 묘사하고 있다. 마치 하늘에서 보고 있는 것 처럼. 첫 구절에서 그것들은 호수옆 나무 아래 있다. 두번째 절에서 그것들은 항만옆에 있고, 세번째 절에서 그것들은 해안에 있다.

Stanza (절) 

A group of lines that compose the basic segment of a poem. (시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는 라인들의 그룹) 

다음, 갑자기 우리는 어떤 장소에 와있다. 

Qte ===============

For oft, when on my couch I live ▶ 지금 우리는 나레이터의 집에 와 있다. 

In vacant or in pensive mood, ▶ 이 셋팅은 나레이터의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ey flash upon that inward eye ▶ 지금 우리는 나레이터의 마음 안에 있다. 

Which is the bliss of solitude;

And then my heart with pleasure fills,

And dances with the daffodils. 

Unqte =========================

마지막 구절에서 나레이터는 우리를 집안으로 데려가고 그의 마음과 감정안으로 들인다. 하지만 그 바깥에서의 수선화의 기억이 되돌아 온다. 곧 셋팅의 발전은 시의 전체의 의미를 바꾼다. 전체 시의 셋팅은 바깥에서 나레이터의 마음 속으로 장소를 옮기면서 움직인다. 셋팅의 발전은 또한 시간을 바꾼다. 시의 처음은 어떤 날처럼 보인다. 하지만 나레이터는 우리에게 그것은 어느날의 기억이라고 말한다. 

Same setting, different description 

다른 종류의 텍스트는 같은 세팅을 매우 다르게 그려낼 수 있다. 다음의 스토리들은 같은 잠자리 세팅이지만 이야기는 완전히 다르다. 

예1 ) From Peter Pan by J.M. Barrie (J.M. Barrie의 피터팬 )

Qte ===

On the night we speak of all the children were once more in bed. It happened to be Nana's evening off, and Mrs. Darling had bathed them and sung to them till one by one they had let go her hand and slid away into the land of sleep. All were looking so safe and cozy that she smiled at her fears now and sat down tranquilly by the fire to sew. It was something for Michael, who on his birthday was getting into shirts. The fire was warm, however, and the nursery dimly lit by three night-lights, and presently the sewing lay on Mrs. Darling's lap. Then her head nodded, oh, so gracefully. She was asleep. Look at the four of them, Wendy and Michael over there, John here, and Mrs. Darling by the fire. 

Unqte  =====

(밤에 우리는 모든 아이들이 다시 한 번 침대에 누워 있었다고 말한다. 나나의 저녁 휴가였고, 달링 부인은 그들을 목욕시키고 한 명씩 노래를 불렀고 그들이 그녀의 손을 놓아 잠의 땅으로 미끄러져 빠져 나갔다. 모두가 너무 안전하고 아늑해 보였기 때문에 그녀는 지금 그녀의 두려움에 미소를 지으며 불 옆에 조용히 앉아 바느질을 했다. 생일에 셔츠를 입고 있던 마이클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불은 따뜻했고, 탁아소는 세 개의 야간 조명으로 어둡게 불이 켜졌고, 현재 바느질은 달링 부인의 무릎 위에 놓여 있다. 그러자 그녀의 고개가 고개를 끄덕였다. 그녀는 자고 있었다. 저기 웬디와 마이클, 여기 존, 불 옆에있는 달링 부인을 보라. )

예2) From Oliver Twist by Charles Dickens

Qte ================

"Well! You have come here to be educated, and taught a useful trade," said the red-faced gentleman in the high chair. "So you'll begin to pick oakum to-morrow morning at six o'clock," added the surly one in the white waistcoat. For the combination of both these blessings in the one simple process of picking oakum, Oliver bowed low by the direction of the beadle, and was then hurried away to a large ward;l where, on a rough, hard bed, he sobbed himself to sleep. What a novel illustration of the tender laws of England! They let the paupers go to sleep!

Unqte ====================

("글쎄! 넌 교육을 받기 위해 여기에 왔고 유용한 무역을 가르쳤어."높은 의자에 앉은 붉은 얼굴의 신사가 말했다. "그러니 내일 아침 6시에 참나무를 골라야 겠군."하얀 양복 조끼를 입은 어리석은 사람이 덧붙였다. 참나무를 따는 간단한 과정에서 이 두 가지 축복을 결합하기 위해 올리버는 교구직원에게 몸을 굽히고 서둘러 큰 병동으로 갔다. 그곳의 거칠고 단단한 침대에서 올리버는 흐느끼면서 잠이 들었다. 영국의 부드러운 법에 대한 참으로 참신한 비유로군!그들은 거지들을 잠들게했다!)

잠자리에 댛나 셋팅은 비슷하지, 하지만 이들의 텍스트는 매우 다르단다. 

Peter Pan (피터팬) Oliver Twist (올리버 트위스트)
Peaceful (평화로운) Hurried (조급한)
Private - Family only (개인적 - 가족뿐) Public-part of large ward (공동 병동)
Comfortable bed (안락한 침대) Rough, hard bed (거칠고 딱딱한 침대)
Mother is there (엄마가 있음) No parents are there (부모가 없음)

 

왜 두명의 작가들은 같은 셋팅을 다른 방식으로 보여줄까? 왜냐하면, 각각의 작가는 다른 점들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야. J.M. Barrie인 피터팬의 저자는 얼마나 안전하고 평화로운 생활을 달링의 아이들이 집에서 보내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싶었어. 반면 Dickens인 올리버 트위스트의 저자는 그시대의 불쌍한 아이들의 삶이 얼마나 힘든지를 보여주고 싶었던거야. 학교를 가는 대신 일을 해야했던 그들말이지. 

반응형
 

반응형

나레이터와 저자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 

<저자 나레이터 캐릭터의 관계> <이미지 출처: 유투브>

 

What is an Author?

Author (저자)는 책, 기사, 시 또는 다른 종류의 글을 쓴 사람을 말해.

Author background and perspective (저자의 배경과 관점) 

모든 저자들은 모두 다른 전기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어. 어던 저자의 전기적 배경은 그 혹은 그녀의 삶과 경험에 대한 이야기야. 여기에는 Culture (문화), Historical period, or when the author was alive (시대적 배경), Location (지역), Personal experiences (개인적 경험) 이 포함된단다. 

※ Culture (문화) : 태도, 지식, 풍습, 믿음 그리고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목표등을 말한다. 

시대에 따라, 장소에 따라, 문화에 따라 저자의 관점은 다른 저자들과 매우 다르지. 자지의 전기적 배경은 그 혹은 그녀의 관점에 영향을 줘. 혹은 저자가 세상을 보는 방식, 글을 쓰는 방식들에 영향을 주지. rmfotj, 저자가 누구인지 이해하면 그 또는 그녀가 처음에 글을 쓴 이유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dj. 

예) 여기 두 나라가 있다 - 블루와 레드. 블루라는 나라는 레드를 침략해서 큰 승리를 이루었다. 만약 시인이 블루 나라에서 자랐다면, 블루나라에 대한 그의 시는 어떨까? 만약 Playwright (극작가)가 레드나라에서 자랐다면 그녀의 블루나라에 대한 연극은 어땠을까?  

독자는 저자의 전기적 배경이 그의 혹은 그녀의 관점에 단순히 혹은 좀더 복잡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할 수 있다. 호머는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그는 핸드폰에 대해서 글을 쓸 수 없다. 왜냐하면 그는 핸드폰이 발명되기 전에 살았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때때로 저자의 전기적 배경은 좀더 복잡하게 저자들의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 Jane Austen은 여자들에게 많은 일을 허용하지 않는 시기에 살았던 여자이다. 그녀는 의사, 변호사, 정치인 여성에 대해서 글을 쓸수 없었다. 그녀가 살았던 시기에는 그들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이언스 픽션을 쓰는 저자들은 참으로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다른 삶을 상상하기 때문이다. 

Quthor vs Narrator (저자 vs 나레이터) 

나레이터는 스토리상에 존재하는 캐릭터로 저자와는 다르다. 나레이터는 저자가 탄생시킨 캐릭터로 저자와 비슷할수도 다를수도 있다. 픽션 텍스트에서 나레이터는 저자의 상상속의 인물이다 - 스토리의 다른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예) 

허클베리핀의 캐릭터와 책의 저자인 마크 트웨인의 캐릭터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Narrator Author
Huck Finn (A finctional person)
허클베리핀 (스토리상의 가상인물)
Mark Twain (a real person)
(마크 트웨인 (실제 인물))
Is an orphan
(고아)
Is not an orphan 
(고아가 아니다.)
Is a kid 
(아이)
Is a grown man 
(어른)
Can't write standard English
(표준 영어를 쓸줄 모른다.)
Makes a living writing standard English 
(표준 영어를 사용해 글을 쓰는 직업을 가졌다.)
Lives on the Mississippi
(미시시피에 산다)
Lives in Connecticut 
(코네티컷에 산다.)

저자와 나레이터사이의 다름은 픽션에 대해 좀더 이해를 하기 위한 첫단계야. 나레이터를 신뢰할 수 있을까?. 즉, 항상 진실과 자신이 아는 모든 것을 말해? 아니면 때때로 진실을 숨길 수도 있는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일까? 저자에 대해 이해하는 것과 비슷하게, 나레이터에 대해 이해했을때 우리는 캐릭터에 대해 좀더 이해할 수 있고 저자가 나레이터를 사용해 이루려고 하는 것에 대해 좀더 이해할 수 있을거야.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반응형
 

반응형

텍스트 분석과 증거에 대한 이야기 (Textual Analysis and Evidence)

 

What is textual analysis and evidence? 

Textual Analysis (텍스트 분석) 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텍스트에 있는 Evidence (증거) 를 공부하는 거야. 텍스트 증거는 너의 분석을 뒷받침하는 텍스트의 정보란다. 

Evidence (증거) : 어떤것을 증명하는 사실 혹은 정보

Anaysis (분석) : 어떤것의 구조나 부분의 정밀 검사. 일반적으로 이해, 토론, 통역을 위한 기본 

여기에 두가지 종류의 텍스트 증거가 있어 - Explicit (명시적) 그리고 implicit (암시적) 증거가 그것들이야. 

Explicit Evidence (명시적 증거)는 텍스트에 직접 명시되어있는 증거지. 

예를 들어 만약 너의 아빠가 네가 방을 치우지 않아서 화가 났다고 가정한다면, 그는 아마 너에게 이렇게 말할거야 "네 방을 치우지 않아, 나 지금 화났다. 너에게 방을 치우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 정말 피곤하다." 

Implicit Evidence (암시적 증거)는 텍스트에 적혀있는 내용으로부터 암시되어지는 증거란다. 넌 저자가 텍스트에 제시한 내용을 보고 그 암시를 알아내야 한단다. 

예를 들어, 만약 네가 집에 왔는데 아빠가 잔뜩 찌뿌린 얼굴로 거실을 쿵쿵거리며 걷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넌 아마도 "아빠가 무엇때문에인지 화가 나보인다" 라고 추측 할 수 있을거야. 네가 추론할 수 있는 이런 것을 암시적 증거라고 해.

캐나다 영어

예) "In Our Neighborhood," by Alice Ruth Moore:

Qte ==

The Harts were going to give a party. Neither Mrs. Hart, nor the Misses Hart, nor the small and busy Harts who amused themselves and the neighborhood by continually falling in the gutter on special occasions, had mentioned this fact to anyone, but all the interested denizens of that particular square could tell by the unusual air of bustle and activity which pervaded the Hart domicile.

Unqte ===

(하트는 파티를 열 예정이었다. 하트 부인, 하트 아가씨, 특별한 경우에 계속해서 자신과 이웃을 즐겁게했던 작고 바쁜 하트는 누구에게도이 사실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 특정 광장의 모든 관심있는 주민들은 Hart 거주지에 퍼져있는 번잡함과 활동의 특이한 공기에 의해 말할 수 있었다.)

<이미지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 저자는 하트 가족이 "우리는 파티를 할거야"라는 그들의 의견을 전혀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것은 파티에 대한 명시적 증거는 아니다. 그렇지만, 저자는 그 이웃들이 암시적 증거를 바탕으로 파티를 열 것이라는 추측을 하고 있다고 적었다. - 그들은 하트가 파티를 위해 준비중인것을 보았다. 

암시적 혹은 명시적 증거를 기본으로 우리가 추측을 할때, 우리는 추론을 하고 있다(Drawing an Inference)고 한다. 

Inference (추론) : 우리가 증거와 이유를 바탕으로 그린 결론

예) In Don Quixote, Miguel Cervantes는 한 늙은이를 어드벤쳐 스토리를 많이 읽고 그 스스로 어드벤쳐에 뛰어들기로 결심한 사람으로 묘사한다. 

그 주인공은 어드벤처를 찾고 있는 중세의 기사가 되기로 결시한다. 그는 그자신이 한 업적으로 인해 왕에게 상을 받을 것이라고 상상한다. 마지막에 그는 오래된 갑옷을 고치지만, 그의 헬멧은 시험에 맞서지 못한다. 그는 헬멧에 철판을 덧대지만 결국 시험에 통과하지 못한다.

위의 요약본을 읽은 후 넌 돈키호테가 기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격이 없다고 추론할수 있을거야. 어떤 명시적 증거는 그가 기사 수행자가 되기에 적당한 장비를 갖추지 못했다고 보여주지. 어떤 암시적 증거는 그는 그저 스토리를 보고선 기사 수행자가 어떤것인지 알뿐이고, 저자는 돈키호테는 실제에서는 기사가 되기 위한 트레이닝을 받지 않았다고 제시하고 있어. 우리는 암시적 증거인 그가 그의 임시 변통용 헬멧을 "가장 완벽한 도구" 라고 테스트를 해보지도 않고 말하는 것을 보면서도 꼬집어 낼 수 있어. 저자는 돈키호테는 아마도 기사 수행자가 될 정도로 똑똑하거나 철저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암시하고 있어. 

The best evidence 

모든 텍스트들은 증거들로 가득차 있어. 하나 혹은 그 이상을 끄집어 내는 건 쉽지. 그렇지만 가장 좋은 증거에 촛점을 맞추는게 더욱 효과적이란다. 네가 가장 좋은 증거를 찾고 있다면 너 스스로에게 물어보렴 " 이 증거가 나의 결론을 이끌어내는데 모든 이가 동의할까?" 라고. 

예)  돈키호테는 옳지 않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걸 밝히고 싶어. 여기에 많은 텍스트 증거들이 있어. 

-- Text evidences ---

Don Quixote imagines that he should become a knight. (돈키호테는 기사가 되리라 상상한다.)

He imagines kings will reward him. (그는 왕들에게 상을 받을 것을 상상한다.)

He imagines that he can use grandfather's old armor on his adventures. (그는 그의 모험에 그의 할아버지의 낡은 갑옷을 사용할 수 있다고 상상한다.) 

He believes he can repair rusted and mildewy armor with pasteboard. (그는 녹슬고 곰팡이가 잔뜩 낀 낡은 갑옷을 판지로 수리할 수 있다고 믿었다.) 

He does not test the armor after he fixes it a second time. (그는 두번이나 갑옷을 고쳤지만 테스트를 하지 않는다.) 

--------------------------------------------------------------------------------------------------------------------------------

하지만 우리는 그 중 최고의 하나를 골라야 한다. 어떤 증거가 모든 이들이 나의 결론을 이끄는데 합당하다고 할까? 

Don Quixote imagines becoming a knight.

vs 

★★ He believes he can repair rusted and mildewy armor with pasteboard.  ★★

돈키호테가 기사가 되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이상하지 않다. 결국 대부분의 우리들은 멋진 농구선수, 유명한 가수, 혹은 대통령이 되고싶다는 꿈을 가지고 있으니까. 하지만 우리의 대부분은 우리가 중세 갑옷을 판지로 고칠수 없다는 걸 안다. 그걸 모르는 돈키호테는 현실과 맞지 않는것 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이것이 최고의 증거가 된다. 

 

He does not test the armor after he fixes it a second time.

vs 

He imagines kings will reward him. 

우리가 높은 사람으로부터 상을 받는다는 것은 그닥 이상하지 않다. 현실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말이다. 하지만 갑옷을 고치고도 테스트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생명이 달린 문제니까. 돈키호테가 그의 갑옷을 테스트 하지 않았을때, 우리는 그가 정상적이지 않다는걸 알수 있다. 이것이 최고의 증거이다. 

만약 우리가 어떤 사람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면 우리는 모든 이들이 그사람이 현실감이 없다는 것에 찬성할 수 있는 증거를 골라야 한다.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반응형
 

반응형

객관적 요약에 대한 이야기 (Objective Summary)

What is Objective Summary?

네가 뒷뜰에서 형이랑 Water fight 를 하고 있어. 처음엔 아무일도 없었어. 그러다 형이 물을 한잔 부탁했고, 넌 그것을 건네주려고 했어. 그런데 네 발이 꼬였고, 넘어지면서 형의 얼굴에 물을 쏟아버린거야. 화가난 형은 뒷뜰에 있는 호스를 집어 들고는 너에게 뿌려댔지. 물론, 너 또한 호스를 잡고 형에게 뿌렸어. 

그리고, 엄마가 도착했어. 

"무슨일이야?" 그녀가 물었어. "형은 세상에서 젤 바보야!" 너는 소리를 질러. "난 아무것도 안했어" 너의 형도 물론 소리를 지르겠지. 누구도 엄마에게 Objective Summary (객관적인 요약) 를 주지 않아. 

Objective Summary (객관적인 요약)은 사람의 관점이나 태도를 배제해. Subjective Summary(주관적인 요약) 는 개인의 관점이나 감정에 영향을 받지. 의견은 사람들마다 다른 반면, 사실은 너의 관점이 어떻든 변하지 않고 True(참) 로 남아있어. 

사람을 살리기 위해 소방관들은 객관적인 요약이 필요해. 

<이미지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객관적인 요약을 쓰는 것은 Paraphrase (다른 방법으로 같은 내용을 쓰는 것) 또는 한 구절을 요약하고 같은 의미를 표현하는 거야. 때때로, Paraphrase는 원래 말보다 간결하고 명확해. 또한 네가 사람들의 의견을 모두 듣고 진술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판단을 들었을때, 때때로 그것들로부터 소수의 사실들을 알아내야만 해. 

예) I couldn't believe it! I never thought anything like this could happen in our neighborhood, but wouldn't you know, the instant I came around the corner. I could see smoke billowing from my neighbors backyard. I bet it's an enemy warhead! or a gas line explosion! Or you know what? It could be the smoking remains of an alien spaceship. (믿을수 없어. 나는 이런 일이 우리 동네에서 일어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했지만, 모퉁이를 도는 순간 이웃집 뒷마당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볼 수있었어. 적의 탄두 일 거야! 아니면, 가스 라인 폭발! 아니면 그거 알아? 외계 우주선의 연기가 남아있을 수 있어!) 

▶ 객관적인 요약은 결국 이웃에서 연기가 왔다는 것 뿐이다. 

이것은 개인적인 의견을 제공하는 흥분한 이웃들의 얘기가 아니다. 저자역시 그렇다. 

예) 이것은 Badger (오소리) 와 농부의 이야기와 관련된 일본의 동화, Yei Theodora Ozaki 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이미지 출처 : 구글 이미지>

Qte ==

Long, long ago, there lived an old farmer and his wife who had made their home in the mountains, far from any town. Their only neighbor was a bad and malicious badger. This badger used to come out every night and run across to the farmer's field and spoil the vegetables and the rice which the farmer spent his time in carefully cultivating. The badger at last grew so ruthless in his mischievous work, and did so much harm everywhere on the farm, that the good-natured farmer could not stand it any longer, and determined to put a stop to it. So he lay in wait day after day and night after night, with a big club, hoping to catch the badger, but all in vain. Then he laid traps for the wicked animals. (밑줄친 단어들은 Opinion) 

Unqte ==

(오래 전, 어느 마을에서나 멀리 떨어진 산속에 집을 짓는 늙은 농부와 그의 아내가 살았다. 그들의 유일한 이웃은 나쁘고 악의적인 오소리였다. 이 오소리는 매일 밤 나와 농부의 밭을 가로 질러 농부가 정성스럽게 재배한 채소와 쌀을 망치 곤했다. 오소리는 장난스런 일은 무자비하게 자랐고 농장 곳곳에 너무 많은 해를 끼 쳤기 때문에 착한 농부는 더 이상 견딜 수 없었고 그것을 멈추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그는 큰 클럽에서 오소리를 잡으려고 매일 밤낮으로 기다렸지 만 모두 헛되었다. 된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그 사악한 동물을 위해 덫을 놓았다.

Paraphrase 할때, 이야기에 나오는 저자의 의견과 특징을 기술하는 것은 허용된다. 단지 우리가 피해야 할 것은 객관적인 요약을 할때 우리 자신의 의견이 요약에 들어가는 것이다. 우리의 의견이 들어간 Paraphrase는 주관적인 요약이 된다. 

▶ Subective Summary 의 예 : Yei Theodora Ozaki 는 그 오소리가 농부의 농작물을 계속해서 먹고 농부를 괴롭혔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나는 오수리는 그저 배가 고파서 먹을게 필요했던 것으로 생각한다.

▶ Objective Summary 의 예 : Yei Theodora Ozaki는 농부와 오소리라는 일본 동화을 기록했다. 그녀는  오소리가 농부의 농작물을 파괴해서 오소리는 악의적인 동물로 특징지었다. ) 

How to write an Objective Summary 

1. Stick to the facts 

   사실을 적는 것이지,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만약 개인적인 판단이나 의견이 있다면, 생략하라.

2. Choose what's important.

   랜덤한 사실들을 고르지 말라. 가장 큰 문제에 집중하자. 만약 주요한 내용에 해당하는 사실이 아니라면, 생략하자. 

3. Put it in order. 

   네가 읽고 있는 것을 설명하는 가장 명확한 방법이 뭘까?  시작부터 그리고 모든 일들이 정확한 순서대로 기술되어야 한다. 처름부터 끝까지. (주로, 시간흐름순으로 정리하는게 가장 좋다 하지만 100 프로는 아니다.) 

4. Check your facts. 

   작성이 끝나면, 네가 읽은 것과 네가 작은 것을 확인하자. 네가 적은 모든것의 출처를 찾을수 있어야 한다. 

<이미지 출처: Everything you need to ace English language art in one big fat notebook>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illiant Idea

Introduce Korean actors and actresses in Korean Dram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61)
The joy of life (160)
Study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