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99

에너지와 환경문제 *인류의 역사와 에너지 구석기 : 인체근육 --> 불의 사용 --> 나무사용 , 동물 , 물 바람이용 --> 목탄을 이용하여 금속 문명 도래 , 연금술의 발달 --> 화학원소를 발견하는 계기가 됨 --> 목탄이 부족해지자 16세기 석탄 사용 --> 산업혁명으로 현대 문명이 급속도로 발전 --> 19세기 초 에드윈 드레이크 석유 시추 성공 --> 20세기 이후 석유시대 돌입 루이스 멤포드 : 인간문명의 변천과정을 기술발전과 에너지 사용의 역사로 설명 에너지 체제가 사회구조와 발전 양식의 내용을 규정하는 주요한 요인이고, 변동을 가져오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고 주장, 인류의 역사를 물과 나무의 시대, 석탄과 철의 시대, 전기와 합금의 시대로 나눔. *에너지 법칙 에너지 제 1법칙 : 에너지를 창조하거나 파괴하.. 2020. 5. 26.
기후변화 * 기후변화의 원인 대기의 대부분은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아르곤 메탄.... 수증기는 불균, 이산화탄소는 균등 ==> 지구의 기온을 유지시켜주는 작용을 함. : 온실효과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주요 온실가스는 수증기. 그러나 수증기의 농도는 1~5%로 높아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수증기의 증가는 온실효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음. 주 요인은 이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의 농도 변화 : 산업혁명 이전 0.28% (280PPM) 에서 0.38%(380PPM)까지 늘어남 메탄 : 이산화 탄소보다 25배 높은 온실효과 아산화질소 : 300배 염화불화탄소 : 수만배 이상 높은 온실효과 기대 이산화 탄소 분자 1개가 일으키는 온실효과 : 지구온난화지수 (Global warmin potential , GWP).. 2020. 4. 30.
현대 환경문제의 특징 현대 환경 문제 : 전지구적, 비가역적 * 에너지 소비와 지구 온난화 생태계 전체를 위협하는 환경문제 :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에너지 흐름의 교란 - 지구온난화 현상 : 소의 사육 -> 메탄증가 : 육류소비량을 줄여야 한다. * 물질흐름의 교란과 오존층 파괴 : cfc(염화 불화 탄소) 물질흐름의 교란으로 나타나는 환경오염 중 국지적인것 : 산업폐기물에 의한 오염 생태계 전체를 위협하는 것 : 오존층 파괴물질 : 염화 불화 탄소 (CFC) - 수소화불화탄소 (HFC)나 수소화 염화불화탄소 (HCFC)로 대체... BUT 이것은 일시적 해결책 결국 생활양식의 변화만이 살길이다. *핵폐기물 미국 핸포드, 러시아 우랄산맥, 첼랴빈스크 지역등의 방사성 라돈가스 방출 : 암 유발 소련 과학자 메드베데프에 의해.. 2020. 4. 29.
삶과 문학과 교육 1. 삶을 구조화 하는 맥락 및 그 틀 1) 삶을 구조화 하는 틀 : 시기, 영역, 형식 ▷ 시기 : 시간을 축으로 삼아서 삶을 구조화하는 틀 ▷ 영역 : 공간을 축으로 삼아서 삶을 구조화하는 틀 ▷ 형식 : 삶을 해석하고 실천하는 다양한 방식과 그 목적, 초점, 관심 또는 무게중심 2) 삶의 형식으로서의 문화와 교육 ▷ 문화, 교육은 삶의 형식 ▷ 삶의 형식 : 삶을 대하는 관점, 삶을 살아가는 방식 ▷ 문화는 인간이 생존과 실존에 필요한 것들을 얻기 위해 자연을 길들이고 신체를 길들이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 ▷ 문화 ⇒ 나와 남의 행동을 이해하는 방식, 행동의 방향을 설정하는 준거 ⇒ 그것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의미를 나누는 배타적인 방식 *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통이 된다. ▷ 교육 ⇒ 문화를 비롯한.. 2020. 4. 28.
환경문제의 역사적 전개 1. 고대의 환경문제 - 고대 그리스의 나무 부족, 숲의 파괴 - 고대 로마의 환경 문제 - 로마 멸망의 환경적 요인 : 1) 목욕탕 주조로 인한 숲의 파괴 2) 인구의 도시집중 3) 납중독 4) 소음 2. 중세유럽의 환경 파괴 - 12세기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숲의 파괴가 시작됨 - 13 ~14세기 유럽의 분업화 시작 - 14세기 자원의 위기 도래 : 나무의 고갈은 기근으로 이어졌고, 페스트의 발생으로 인해 150년간 전 유럽이 신음하게 되었다. ※ 이스트 섬의 생태파탄과 문명의 붕괴 - 서기 500년경 폴리네이사 인이 이주하여 숲을 개간하기 시작한 이스트 섬은 1100년경 인구가 만여명에 도달했다. 그러다 자원과 식량이 부족해진 이스트섬은 1680년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전쟁으로 인해 멸망에 이르렀.. 2020. 4. 27.
나이아가라 폭포의 아침 - 2016년 1월 1일 아침 1월 1일 아침, 해돋이를 보고 싶어서 아침에 차를 몰고 나가봤지만 이미 해가 구름 속에 있는듯 하더군요. 날씨가 좋지 않아 해돋이는 포기하고, 나이아 가라 폭포에 가서 폭포를 보며 한해를 시작했습니다. 우렁차고 통쾌한 폭포의 소리를 들으며, 올 한해 건승을 기원해 봅니다. 화이팅~~ !! 난간에 열린 귀여운 고드름~ *^^* 올 한해 모두 모두 건승하시길 바래요~*^^* 2016. 1. 4.